특화클리닉

사춘기발달이상

사춘기발달이상

  • 2차 성징이라고 불리는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들은 보통 성장속도의 증가, 유방 발달, 치모의 발현, 최고 성장속도, 그리고 초경의 순으로 일어나며 평균 4,5년(1.5~6년)이 걸리며, 일반적으로 사춘기에 일어나는 첫 현상은 성장속도의 증가이며 그 이후에 유방의 발육이 일어납니다.
  • 유방과 치모의 발달을 단계별로 분류하여 개개인의 2차 성장 발현 정도를 비교하는 지표로서 특히 유방의 평가는 유방의 발달이 난소의 활동성을 반영해 주는 가장 초기의 징후로 나타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으며 초경을 보통 성장속도가 최고치에 도달한 후에 일어납니다. 초경이 있으면 사춘기의 급 성장기는 끝나서 앞으로는 빠른 성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동시에 초경이 있으면 2년 후에는 성장이 완전히 멈춘다는 것을 의미하며 초경이 있고 성장이 멈출 때 까지 일반적으로 3~5cm 정도밖에 자라지 못합니다. 또한 유방발현이 시작하고 4년이 경과할 때 까지 초경이 없으면 사춘기 진행을 지연시키는 질병 또는 상태를 의심하여야 합니다. 이러하듯이 만10~11세에 시작되는 여성의 사춘기는 성장속도의 증가에서부터 2차성장의 출현, 초경에 이르기까지 단계적, 순차적으로 발달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사춘기 발달이 너무 이르거나 너무 늦게 나타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성조숙증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 여야에서 만 8세 이전에 사춘기 징후가 나타나는 것이라 정의하고, 성조숙증이 의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성호르몬의 증가가 너무 빨리 와서 골연령을 빨리 성숙시키므로 성장판이 일찍 닫히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인 어른 키가 자기가 자랄 수 있는 잠재적인 키보다 현저히 작게 되는 것이고 이런 현상이 있는 경우 원인을 찾아 치료하여야 합니다.

  • 01. 완전 성조숙증
    • 특발성 성조숙증은 기질적인 병변 없이 2차 성장이 나타나는 경우로 대부분 산발적으로 발생하나 여아에서 더 흔하며 완전 성조숙증의 90%를 차지합니다. 유방크기의 증가, 저 신장증, 간질이나 지능저하, 종양의 발생
  • 02. 불완전 성조숙증
    • 과다한 에스트로겐 분비에 의해 나타나는데 마찬가지로 종양이나 인위적인 약물 또는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 단계적인 사춘기의 발달 형태가 아닌 사춘기 발달의 변인 형태로 일시적인 한 단계가 조기 발견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유방조기발육증으로 3세기 전후의 여아에서 흔하고 보통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수개월 혹은 2년 안에 완전히 없어지게 됩니다. 그 외에 초경조기발생증, 청소년기 여성형 유방 등이 있습니다.
  • 03. 성조숙증의 치료와 목적
    • 제 2차 성장을 정지 또는 소멸시키고 혈중 호르몬의 농도를 사춘기 이전에 맞게 낮추며 골성숙의 진행을 늦추어서 정상 성인의 키를 갖게 하고 행동 장애를 없애는 데에 있습니다. 즉 원인이 되는 종양을 제거하며 알맞은 약물을 투여하여 치료하여야 합니다.
사춘기 지연
  • 01. 채질성 성장 및 사춘기 지연
    • 키가 작아서 병원에 오는 소아, 청소년들 중에 상당부분이 여기에 속하며, 골연령을 측정 시 골연령이 낮은 것이 특징이며, 골연령이 낮기 때문에 사춘기 발현이 늦게 옵니다. 골연령이 남자에서는 12세 여자에서는 11세가 되어야 사춘기 발현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사춘기가 끝나는 시기도 다른 사람보다 늦어서 최종적인 어른 키는 정상범위에 도달되고 치료를 요하는 병은 아닙니다.
  • 02. 성선자극 호르몬이 감소된 성선기능 저하증
    •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의 이상으로 인하여 생기는데 종양, 감염, 외상 등의 뇌 이상이나 만성 전신성 질환, 과도한 운동, 식이장애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 03. 성선자극호르몬이 증가된 성선기능 저하증
    • 터너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이상이나 출생 후 볼거리가 같은 염증, 수술로 인하여 고환이나 난소에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시에 생기며, 진단은 골연령의 측정 및 호르몬 검사를 합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뇌 검사를 시행하며, 치료는 적절한 호르몬 치료를 통해 2차 성장을 유도합니다.
맨위로 이동